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주식 양도소득, 건강보험료에는 영향 없을까? (+배당소득 주의)"

by 월금금금 2025. 3. 22.
반응형

📍 양도소득세와 건강보험료의 관계
해외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 중 하나가
"주식 매매 차익이 건강보험료에 영향을 주는지"입니다.

단순한 YES or NO가 아닌, 구체적인 기준과 사례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직접 건강보험공단에 질의하였습니다.


1. 해외 주식 매매 차익(양도소득) → 건강보험료 영향 없음!

📌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 소득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이자·배당) 등이 포함됩니다.
📌 그러나, 양도소득(자산 매매 차익)은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이 아닙니다.

즉, 미국 주식 매매로 수익을 실현해도 건강보험료는 변동되지 않습니다.


2. 배당소득 1천만 원 초과 시 건강보험료 영향 있음

📌 미국 주식에서 배당을 받을 경우, 배당소득으로 잡힙니다.
📌 만약 배당소득이 연 1천만 원을 초과하면 지역가입자는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직장가입자는 2천만 원 초과 시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가 추가 부과됩니다.

즉, 매매 차익은 상관없지만 배당소득이 많다면 보험료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예제 1: 미국 주식에서 매매 차익 5,000만 원 발생 → 건강보험료 영향 없음
🚨 예제 2: 미국 주식 배당소득 1,200만 원 발생 → 지역가입자는 건강보험료 추가 부과


3. 직장가입자 vs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구분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직장가입자 금융소득(이자+배당)이 연 2천만 원 초과 시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 부과
지역가입자 금융소득(이자+배당)이 연 1천만 원 초과 시 건강보험료 부과

🔹 직장가입자의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란?

직장가입자는 급여(보수월액) 기준으로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만, 일정 소득이 추가로 발생하면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말하는 "소득"은 금융소득(이자+배당), 사업소득, 기타소득 등을 포함합니다.

 

🔹 금융소득(이자·배당) 2천만 원 초과 시 건강보험료 부과!

📌 직장가입자는 연간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하면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즉, 이자·배당소득이 1천만 원을 넘는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보험료가 오르는 것은 아니고, 2천만 원을 초과해야 건강보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예시
✅ 김철수 씨(직장가입자) - 배당소득 1,500만 원 → 건강보험료 변동 없음 ❌
✅ 박영희 씨(직장가입자) - 배당소득 2,500만 원 → 2,000만 원 초과분에 대해 건강보험료 부과 ⭕

🚨 반면, 지역가입자는 금융소득이 1,000만 원만 초과해도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예제:
직장가입자 A: 배당소득 1,500만 원 → 건강보험료 변동 없음
지역가입자 B: 배당소득 1,500만 원 → 건강보험료 추가 부과


4. 건강보험료 절약 전략

📌 배당소득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것 같다면, 주식 매매를 통한 수익 실현이 유리
📌 배당 지급이 적은 성장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조정
📌 직장가입자는 금융소득이 2천만 원 이하로 유지되도록 관리


🔥 5. 결론: 핵심 요약

미국 주식 매매 차익(양도소득)은 건강보험료 영향 없음
배당소득이 1천만 원 초과하면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
직장가입자는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시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 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