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금금금 투자법(주식, 코인등)

특별시·광역시 제외, 2025 전국 아파트값 TOP 10

by 월금금금 2025. 4. 1.
반응형

특별시·광역시 제외, 2025 전국 아파트값 TOP 10

“지방은 싸다”는 말, 아직 믿으시나요? 지금은 서울도, 광역시도 아닌 ‘비(非)광역지’들이 뜨고 있는 시대입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주변에서 부쩍 이런 말이 자주 들리더라고요. “서울은 넘사벽, 광역시는 애매하고… 그럼 어디로 가야 해?” 솔직히 저도 그 고민을 오래 했어요. 그런데 조사하다 보니, 특별시나 광역시가 아닌 지역 중에서도 놀랄 만큼 집값이 비싼 곳들이 있더라구요. 생활환경 좋고, 교통 좋아지고, 거기다 신축까지 몰리는 곳이라면 굳이 광역시일 필요도 없겠죠.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 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전국 아파트값 상위 10개 도시를 모아서 정리해드릴게요!

1. 경기 성남시

서울과 경계를 맞대고 있는 성남시 분당구는 단연 전국 최고 수준의 아파트값을 자랑합니다. 판교 테크노밸리의 풍부한 일자리, 고급 학군, 뛰어난 교통환경까지 삼박자가 고루 갖춰져 있어요. 2025년 기준 3.3㎡당 5,300만 원을 상회하는 곳도 흔합니다.

2. 경기 과천시

서울 접근성, 자연환경, 교육 여건 모두 최상위권인 과천은 ‘작지만 강한 도시’입니다. 공급이 적어 희소성이 높고, 새 아파트 중심으로 시세가 형성되며 평균 매매가는 3.3㎡당 약 5,200만 원 수준입니다. 강남권에 맞먹는 시세죠.

항목 내용
2025년 평균 시세 약 5,200만 원/3.3㎡
대표 단지 과천푸르지오써밋, 래미안슈르

3. 경기 하남시

하남시는 교산지구, 미사강변도시, 위례신도시 등 신도시 중심의 도시로 급성장했습니다. 스타필드 하남을 비롯한 상업시설과 서울과의 빠른 접근성이 강점이죠. GTX-D 기대감도 겹쳐, 아파트값이 꾸준히 상승 중이에요.

  • 3기 신도시 핵심지역 – 교산지구 중심 개발 중
  • 수도권광역급행열차(GTX-D) – 교통 호재로 부각
  • 신축 브랜드 아파트 중심 – 전세가율도 높음

4. 경기 용인시 수지구

용인 수지구는 분당 바로 옆에 위치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과 브랜드 신축 단지들이 어우러져 꾸준히 인기 있는 지역이에요. 강남 접근성이 우수하고, 고급 학군과 인프라도 탄탄하죠. 3.3㎡당 평균 시세는 약 3,600만 원 수준입니다.

5.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은 오래된 도시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최근 킨텍스와 GTX-A, 일산테크노밸리 등 개발 호재로 다시 조명 받고 있어요. 특히 정발산, 마두, 백석역 일대는 입지와 생활 인프라 모두 우수하고 시세도 빠르게 회복 중입니다.

항목 내용
2025년 평균 시세 약 3,400만 원/3.3㎡
대표 지역 정발산동, 백석동, 장항동

6. 경기 남양주시

남양주는 진접·다산신도시 등 신도시 개발로 최근 몇 년 사이 부동산 가치가 급등한 지역이에요. 서울 지하철 연장, 제2경춘국도 등 교통 인프라 확장이 시세를 끌어올리는 주된 요인이죠.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입니다.

  • 다산신도시 – 강남권 출퇴근 가능 신도시
  • 왕숙지구 개발 – 3기 신도시 프리미엄 기대
  • 3.3㎡당 시세 – 약 3,300만 원 수준
Q 특별시·광역시가 아닌 지역인데도 아파트값이 왜 이렇게 비싼가요?

서울과 가까운 입지, 우수한 교육 환경, 교통 호재, 신축 브랜드 아파트 밀집 등의 요인이 시세를 끌어올렸어요. 특히 성남, 과천, 하남은 서울 못지않은 조건을 갖췄죠.

Q 세종시는 광역시가 아닌가요?

세종은 특별자치시로 분류되며, 행정수도로서 독립된 행정 단위이지만 광역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번 순위에 포함되었어요.

Q 고양 일산은 예전보다 인기가 떨어지지 않았나요?

일부 구도심은 하락했지만, GTX-A 개통과 일산테크노밸리 등 개발로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어요. 특히 정발산역 인근은 여전히 탄탄한 수요가 존재합니다.

Q 하남시 교산지구는 아직 입주 안 했는데 시세가 높다고요?

맞아요. 교산은 아직 입주 전이지만, 입지적 강점과 공급 희소성으로 인해 선분양 단계부터 높은 프리미엄이 형성돼 있어요.

Q 남양주도 서울까지 출퇴근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해요. 지하철 4호선, 경춘선, 별내선 등 다양한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고, 앞으로 더 좋아질 예정이라서 실거주 선호도가 높습니다.

Q 용인 수지구는 왜 분당보다 저렴한가요?

분당은 브랜드 가치와 공급 제한 때문에 시세가 더 높은 편이에요. 수지는 입지나 생활환경이 비슷하지만 공급 여지가 있어서 비교적 저렴한 거죠.

광역시도 아니고, 특별시도 아닌데도 이렇게 아파트값이 높은 지역들이 많다는 사실, 조금 놀라셨죠? 이제는 행정 단위보다 실제 삶의 질, 교통 접근성, 교육·환경 인프라 등이 집값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가 되었어요. 저는 이런 흐름이 참 건강하다고 느껴집니다. 여러분도 내 집 마련이나 투자를 고민하신다면, 꼭 서울·광역시에만 국한되지 말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시길 추천드려요. 언제든 궁금한 지역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같이 분석해드릴게요!

아파트값순위, 비광역시부동산, 성남부동산, 과천시세, 하남신도시, 용인수지, 고양일산, 남양주아파트, 수도권부동산, 비서울투자지

반응형